IT Trends

네이버 검색시장 점유율, 구글 도약에 60% 급감 |해결책은 무엇인가

”㉾” 2023. 10. 18.

한국의 검색엔진 시장과 그에 따른 IT 기업들의 대응 전략, 그리고 국내외 경쟁 상황을 다룹니다. 특히 네이버와 카카오의 현재 상황과 미래 전략, 그리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인 구글과의 경쟁을 중점적으로 살펴봅니다. 또한, 정부의 역할과 앞으로의 전망까지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네이버와 구글, 검색엔진 시장에서의 불균형: 이유와 대책은?

한국의 독특한 검색엔진 시장 상황

한국, 중국, 그리고 러시아는 검색엔진 시장에서 구글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나라들이다. 중국에서는 바이두가 8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러시아에서는 얀덱스가 약 50%를 차지한다. 이러한 상황은 주로 정부의 인터넷 관련 정책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네이버가 자체의 경쟁력으로 검색엔진 시장을 장악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네이버의 시장점유율 하락의 원인

2014년에는 네이버가 82%의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였으나, 이제는 50% 초반으로 떨어져 있다. 그 동안 2위를 차지하던 다음은 이제 구글에 밀려 5% 이하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이 변화의 가장 큰 원인은 스마트폰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와 웹 브라우저인 크롬이다. 안드로이드는 한국의 스마트폰 시장에서 약 70%를 차지하고, 크롬 브라우저의 시장 점유율은 66%에 이른다. 이 두 플랫폼의 기본 검색엔진이 구글이기 때문에, 네이버와 다음의 점유율은 자연스럽게 하락했다.

순위 구분 기간내평균 기간시작 (2023-10-16/A) 기간끝 (2023-10-16/B)
1 NAVER(네이버) 58.60% 58.60% 58.60%
2 GOOGLE(구글) 31.89% 31.89% 31.89%
3 DAUM(다음) 4.26% 4.26% 4.26%
4 MSbing(마이크로소프트) 2.85% 2.85% 2.85%
5 기타 1.26% 1.26% 1.26%
6 ZUM(줌) 0.19% 0.19% 0.19%
7 YAHOO(야후) 0.10% 0.10% 0.10%
9 N/A (알수없음) 0.85% 0.00% 0.00%

출처: INTERNET TREND

구글의 성장과 국내 기업들의 대응

구글은 자체 기술 뿐만 아니라 여러 업체를 인수하여 검색엔진 시장에서 성장했다.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회사인 딥마인드를 인수하면서, 차세대 IT 산업에 대한 준비를 해왔다. 이와 대비하여 네이버는 자체 개발한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를 통해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 '큐(Cue:)'를 출시했다. 다음은 대응 전략을 아직 명확하게 내놓지 못하고 있다.

초거대 AI 기술과 한국 IT 기업의 미래

초거대 AI가 등장하면서 전 세계의 검색엔진 시장도 변화가 예상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미 이러한 기술을 자체 검색 서비스인 빙(Bing)에 적용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의 IT 기업들은 내수 중심의 사업 방식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초거대 AI 기술에 투자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요약 정리

한국의 검색엔진 시장은 구글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불안정해진 상태다. 스마트폰과 웹 브라우저의 플랫폼 특성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이제 한국 IT 기업들은 내수 중심의 경영 방식에서 탈피해, 초거대 AI 기술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또한, 국내 규제 기관도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 맞설 수 있는 규재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댓글